전거비인대(ATFL) | 발목 인대, 기능, 파열, 증상 및 치료방법(수술 및 비수술), 회복 기간
전거비인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전거비인대 영어로
전거비인대는 영어로 anteriotibio fibular ligament(ATFL)라고 합니다
전거비인대란
전거비인대는 복사뼈 주위에 있는 발목 인대의 한 종류입니다.
거골(목말뼈, talus)과 비골(종아리뼈, fibula)을 연결하는 부위입니다.
목말뼈 | 발목 뼈의 구성, 기능과 특징, 발목 연골, 관련 질환과 증상
신체의 하중을 견뎌야 하는 발목은 여러가지 뼈로 구성되어있는데 그 중에서 목발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목말뼈란 목말뼈는 발목뼈 가운데 가장 뒤의 안쪽에 있는 뼈로서 정강뼈(tibia) 및
jctechbiz.tistory.com
발목에는 다음과 같은 인대가 있습니다.
- 바깥쪽 인대 : 전거비인대(anterior), 후거비인대(posterior), 종비인대(calcaneo)
- 안쪽 인대 : 삼각인대(deltoid)
발목이 안쪽으로 굽어지는 것을 제한하는 역할을 합니다.
발목을 안정시키는데 중요한 역살을 합니다.
약해서 발목에서 가장 손상되기 쉬운 인대 중 하나입니다.
전거비인대 파열
발목이 안쪽으로 꺾이면서(내반력, inversion) 균형을 잃고 이 때 체중의 압박에 의해서 전거비인대가 손상됩니다.
가해진 강도에 따라서 파열정도가 결정되고 발목이 충격을 자주 받거나 습관적으로 접질릴 경우 손상범위와 정도가 심해질 수 있습니다.
전거비인대 파열 증상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다치는 순간 인대 파열음 발생
- 보행 어려움
- 발목 움직임 제한
- 붓고 통증
- 멍
전거비인대 치료 및 회복방법
수술과 비수술적 방법이 있습니다.
비수술적방법
- 압박붕대
- 얼음(냉)찜질
- 소염제 복용(비마약성 해열진통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등)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SAIDs) | 약리작용, 효능 및 효과, 용법, 종류, 부작용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란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는 체내의 염증반응을 완화시켜 소염, 진통, 해열작용을 하는 약물입니다. 주로 사이
jctechbiz.tistory.com
- 반깁스
- 체외충격파 치료(ESWT)
- 프롤로 치료(prolotherapy, 증식치료)
- 재활 도수치료
수술적 방법
- 개방형 변형 브로스트롬 방식(modified brostrom operation, MBO)
- 내시경 봉합술(anthroscopic reconstruction of ATFL)
인대 손상단계에 따라서 치료방법이 달라집니다.
- 인대 손상 1단계 : 인대는 늘어났지만 발목 관절 불안전성이 없는 상태(누르면 아프지만 붓기 심하지 않음)
- 인대 손상 2단계 : 인대 부분 손상과 발목 관절 불안전성이 조금 생긴 상태(누르면 크게 아프고 붓기와 함께 멍 동반)
- 인대 손상 3단계 : 인대가 완전파열해 발목 관절 불안전성이 심한 상태(심한 붓기와 멍이 들고 발목 디디지 못함)
압박붕대와 얼음찜질이 충분한 경우부터 인대파열로 인해서 발목의 불안전성이 심하면(인대 2개이상 파열+연골 손상) 수술을 진행하기도 합니다.
운동선수나 젊은 연령층에 수술을 더 권장하는 편입니다.
발목 불안전성이 심해지면 발목 연골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손상을 피하기 위해서 운동 전 스트레칭과 근력 강화 운동을 진행해야 합니다.
전거비인대 파열 회복 기간
회복에는 수 주에서 수 개월 정도 소요됩니다.
정보 인용웹사이트
https://www.webmd.com/fitness-exercise/what-is-an-ankle-sprain
https://www.bio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4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