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투자8 숏 커버링과 숏 스퀴즈 | 정의, 주가 가격과의 관계 숏 커버링이나 숏 스퀴즈는 공매도에서 파생된 용어입니다. 공매도를 주도하는 세력 때문에 만들어집니다. 이는 단기간 주식의 가격의 급등으로 이어집니다. 그리고 숏 커버링과 숏 스퀴즈는 의미가 다릅니다. 이 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숏 커버링이란 숏 커버링이란 공매도(short selling) 했던 주식을 다시 산다는 뜻입니다. 하락에 베팅해 매도했던 걸 복구한다는 뜻입니다. 숏 커버링은 주가 및 코인 하락에 베팅(공매도, short selling)한 투자자들이 손실을 줄이는 방법입니다. 더 큰 손실을 줄이기 위해 short에 베팅한 투자자들이 주식을 다시 매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숏 커버링 영어로 숏 커버링은 영어로 short covering입니다. short selling: 공매도(해당 주식이나 코.. 2023. 10. 27. 위험보상비율(Risk Reward Ratio) | 정의와 용도, 공식과 예, 승률(win rate) 위험보상비율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위험보상비율 영어로 위험보상비율은 영어로 Risk Reward Ratio(RRR)입니다. 위험보상비율이란 위험보상비율은 투자와 거래에서 예상되는 수익과 손실의 비율입니다. 이를 이용하여 포지션 진입 여부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또 이익 목표가를 어디에 두거나 손절매 수준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위험보상비율 용도 포지션 진입여부 이익 목표가 설정 손절매 수준 설정 위험보상비율 공식과 예 위험보상비율 공식 다음과 같습니다. 위험보상비율 공식 : 잠재적 손실(위험) / 잠재적 이익(보상) = 위험대비 보상비율 비율이 1.0보다 크면 거래 수익보다 위험이 큽니다. 비율이 1.0보다 작으면 위험보다 수익이 큽니다. 1:2 비율은 중장기 트레이딩에 대한 최소값으로 널리 받아들여.. 2023. 10. 15. 실리콘밸리뱅크(SVB) 파산 | 파산의 이유, 미치는 영향과 FDIC의 대처, 파산을 부채질한 SNS, 연쇄 파산 가능성, 고금리 시대 미국 장기채 투자의 의미 실리콘밸리뱅크(Silicon Valley Bank, SVB)가 파산하였습니다. 스타트업 쪽에서는 꽤나 유명한 은행이기 때문에 관계업종에서 일하는 사람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꽤 큽니다. 실리콘밸리뱅크 파산 한지 이틀만에 암호화폐(cryptocurrency)에 특화된 시그니처 뱅크(Signature Bank) 또한 파산하였습니다. 문제는 스타트업이나 암호화폐 등에 전문화된 이런 특화은행 뿐만 아니라 지방 중소은행과 미국 이외 지역 대형은행의 뱅크런 조짐 또한 보이고 있습니다. 실리콘밸리뱅크 파산 사태, 그리고 연관된 이슈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실리콘밸리뱅크는? 실리콘밸리뱅크는 1983년에 설립되었습니다. 미국 내 16번째로 큰 은행이자 스타트업의 생명줄인 은행이었습니다. 은행의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실.. 2023. 3. 16. 헬스케어 섹터 투자 관련 기본 가이드 | 섹터 고유의 특징과 진입장벽, 각 산업별 투자 유의점(의약품 / 의료기기 / 민간 의료보험 회사 등) 다른 섹터와 비교해보면 헬스케어 섹터는 투자자 입장에서 화제성과 폭발력은 떨어지지만 잔잔하고 안정적인 특징을 가진 것 같습니다. 지난 2~3년간 코로나 사태와 같은 전세계적으로 예외적인 상황이 발생하여서 백신을 만드는 몇몇 제조사 주가는 폭등하기도 하였지만 사태가 진정되면서 pre-pandemic 시점의 가격으로 회귀하는 것이 보이고 있습니다. 건강이라는 것은 우리 삶에서 뗄레야 뗄 수가 없는 한 부분인데 우리가 건강을 유지하는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헬스케어 섹터를 전반적으로 알아보고 어떠한 산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산업을 투자하는데 어떠한 점을 유의해야 하는지 알아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 같아서 내용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미국 기준으로 정리한 헬스케어 섹터 투자에 관련된 내용들을 다음과 같.. 2023. 3. 9. 이전 1 2 다음 반응형